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국에서 9월부터 시행되는 주택청약종합저축 한도 인상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이미 주택청약종합저축이 무엇인지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만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국민들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여 일정 기간 이후 주택 청약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저축 상품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 청약이 가능하며 이를 위에서는 기존에 10만원의 금액을 납부해야했습니다.
월 인정액 25만원으로 인상한 이유
9월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월 납입 한도가 기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인상됩니다.
공공주택청약에 당첨이 되기 위해서는 납입 금액과 납입 기간이 길수록 유리합니다. 정부는 납입한도를 늘림으로써 청약통장에 더 많은 돈을 빨리 저축하여 청약 당첨의 기회를 앞당길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웠습니다. 또한 소득공제 혜택도 확대하였습니다.
정부가 이러한 정책을 내세운 것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청약 해지율 증가
주택청약에 당첨된다 하더라도 분양가가 너무 높아 어차피 집을 살 수 없습니다. 대출 받자니 엄두가 안나구요. 그러니 청약통장 깨고 목돈 굴리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으로 해지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 주택도시기금 부족
주택도시기금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나갈 곳이 많죠. 정부는 기금을 다시 채우기 위해서 돈을 더 걷어야합니다. 주택청약의 납입한도를 늘린다면 많은 사람들이 25만원씩 납부를 하게 될 것입니다.
25만원씩 납부해야할까?
사실 반드시 25만원씩 납입을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공공주택의 경우 납입액이 중요합니다. 내가 10만원만 낼 때 다른 사람들이 25만원씩 납부를 한다면 같은 기간 동안 납입금액이 뒤쳐지게 되겠죠. 이런 상황이니 청약에 당첨되기 위해서는 25만원씩 내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가능하다면 25만원씩 납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공공주택을 노리지 않는다면 굳이 25만원을 무리해서 납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돈이 묶이는 게 싫다면 적당히 납부하시거나 유지하는 정도로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주택청약 유지해야할까?
주택청약을 유지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해지하고 목돈을 따로 굴리는게 나을까요?
이건 사람마다 많이 다를 것 같습니다.
저도 고민을 해보았는데요, 제 경우엔 당첨이 된다하더라도 분양받을 목돈이 없을 뿐더러, 굳이 20년 동안 무주택자로 살면서 돈이 묶인 채로 청약 기다리는 것보다 구축 아파트로 내집 마련하는게 어떤가 생각이 듭니다. 또한 나는 투자 등으로 돈을 불릴 수 있고 충분히 청약없이 내집마련이 가능하다 싶다면 굳이 유지할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이미 납입을 해왔고 청약 당첨 확률이 높다면 유지하는 것이 아주 좋겠죠. 일단 당첨되면 이익을 보는 건 확실하니까요.
저는 20대이기 때문에 당장 해지하지는 않고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으로 전환하여 납입할 계획입니다.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는 2년 이상 납입시 10년까지 연이율 4.5%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은 현금자산 모은다 생각하고 납부하고 향후 분양 가능한 수준의 자산을 마련한다면 청약에 도전해볼 생각입니다.
나중에는 집이 남아돌 거라 굳이 청약을 해야하는가? 라는 의견이 많더라구요. 저출산 등으로 지방은 집이 남아돌겠지만 수도권은 어떨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모르니 다양한 루트로 자산 관리를 해야겠습니다.
어쨌든 로또 청약의 기회를 얻을 수 있으니 해지보다는 유지하는 쪽으로, 25만원이 부담스럽다면 민영주택분양으로 준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요약]
1.오늘은 주택청약 25만원 납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정부가 돈 더 걷으려고 25만원으로 늘린 것으로 보입니다.
3.꼭 청약 당첨되길 원하신다면! 공공주택까지 노린다면 가능하면 25만원 납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4.기회비용을 따져서 청약에 가망이 없다 싶으시면 차라리 해지하고 목돈 굴리는 걸 추천드립니다.
5.청년은 청년주책드림청약통장 추천드립니다.
6.청약 통장은 한번 통장을 해지하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하니 이점 꼭 유념하여 신중히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지식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도약계좌 10월 신청기간 정보 한눈에 확인하기 (7) | 2024.10.05 |
---|---|
주택청약 25만원, 9월 아닌 11월부터 (0)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