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지식/경제 용어6

[경제용어] 기준금리, 여신, 가산금리, 예대금리차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오늘은 25년 1월 13일 뉴스에 나온 경제 용어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5/01/13/EURNO7R67ZH7RHC7I6X3J244IY/ 시중은행 가산금리 내린다… 대출심사는 깐깐해질 듯시중은행 가산금리 내린다 대출심사는 깐깐해질 듯 신한銀, 14일부터 가산금리 인하 올해 연말 기준금리 2.25% 수준 예상 금융 당국, 가계대출 관리는 DSR 강화로biz.chosun.com     1. 기준금리 : 중앙은행에서 결정하는 금리로, 금체계의 기준이 되는 금리. 은행 이자를 생각하면 쉽다. 한국은행에서는 분기별로 기준금리를 올릴지, 내릴지 등을 결정하여 공표한다.  2. 가산금리 : 기준 금리에 추가로 더해지는 .. 2025. 1. 15.
[경제용어] 가변예치의무제도 외국환평형기금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경제기초용어 알아보기 5탄가변예치의무제도 / 외국환평형기금    가변예치의무제도(Variable Deposit Requirement, VDR) 가변예치의무제도 : 외환 시장에서 외화 자금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외국 자본이 국내로 들어올 때 일정 비율의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규제 장치.   외국 돈이 한꺼번에 너무 많이 들어오면 환율이 변동하면서 우리 경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제도를 통해 돈의 유동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목적.    외국 자본이 국내로 들어올 때 일정 비율(예를 들어 10% 또는 20%)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며, 이 비율은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 예치된 금액은 일정 기간 동안 인출할 수 없다.  .. 2024. 10. 6.
[경제 기초] 가동률 제조업 평균 가동률 갭 제조업 생산 능력 및 가동률 지수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경제기초용어 알아보기 4탄입니다.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 지수/ 가동률 / 제조업 평균 가동률 갭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 지수제조업 생산능력은 한 국가 또는 지역 내 제조업 부문에서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양을 의미. 즉, 각 기업이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종합한 지표. 제조업 가동률 지수는 이 생산능력에 대비한 실제 가동률을 보여주는 지표. 이 지수는 특정 산업군의 경기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산능력 대비 실제 가동 수준이 어떻게 변동하고 있는지를 추적할 수 있음. 가동률(Capacity Utilization) 가동률 : 한 경제 또는 산업에서 주어진 생산 능력 대비 실제 생산 활동의 비율즉,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생산 설비가 가동되고 있는가? .. 2024. 10. 5.
경제 용어 가계순저축률/가계처분가능소득/가계신용통계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오늘은 경제기초용어 알아보기 3탄을 준비했습니다. 해당 내용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에 있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요약한 자료입니다!저축률이란?저축한 금액을 처분가능 소득으로 나눈 비율.가계처분가능소득이란?PDI(Personal Diposable Income)로 칭하며 가계가 마음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보통 국민 생활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민 총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값을 활용하지만 여기에는 기업과 금융기관, 정부가 번 소득도 포함되어서 가계의 체감 경기는 전체경기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가계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인구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가 있는데 이는 1인당 가계총처분소득(PGDI; Personal Gross Diposable Income)으로 나타.. 2024. 8. 23.
[경제용어] 가계수지 경상수지 뜻과 의미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23년 경제용어 700선 마스터하기 2]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household's(가계의) total income(총소득) and expenditure(지출) 가계수지는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서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을 의미합니다흑자라면? 번 것보다 돈을 조금 써서 돈이 남았다!적자라면? 번 것보다 돈을 많이 써서 마이너스이다.소득에는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등이 포함됩니다.지출에는식료품, 주거, 수도광열비, 보건의료비, 교육비 등이포함됩미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 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 표본은.. 2023. 9. 22.
경제용어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23년 경제용어 700선 마스터하기 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Household(가계) Debt(빚) Risk(위험) Index(지수)의 약자입니다. 즉 이 가구가 돈을 갚을 능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이죠! 총 두가지 기준을 합산하여 측정하는데   첫번째, 원리금상환비율(DSR)이 가구의 값아야 할 빚(원리금)이 연소득의 몇 프로를 차지하는가?두번째, 부채/자산비율(DTA) 이 가구의 빚과 자산의 비율이 얼마인가?   원리금상환비율(DSR)은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연소득에서 원리금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ex) 나는 일년에 1000만원을 버는데, 1년에 내야하는 돈이 100만원이라면? DSR이 10%ex) 나는 일년에 1억을 버는데 1년에 .. 2023.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