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경제 용어

[경제용어] 가변예치의무제도 외국환평형기금

by 나무꿈 2024. 10. 6.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경제기초용어 알아보기 5탄

가변예치의무제도 / 외국환평형기금

 

 

 

 

가변예치의무제도(Variable Deposit Requirement, VDR)

 

가변예치의무제도 : 외환 시장에서 외화 자금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외국 자본이 국내로 들어올 때 일정 비율의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규제 장치.

 

 

 

외국 돈이 한꺼번에 너무 많이 들어오면 환율이 변동하면서 우리 경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제도를 통해 돈의 유동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목적.

 

 

 

 

외국 자본이 국내로 들어올 때 일정 비율(예를 들어 10% 또는 20%)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며, 이 비율은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 예치된 금액은 일정 기간 동안 인출할 수 없다. 

 

 

 

우리나라가 국제 금융 상 심각한 어려움에 처한 경우, 기타 거시경제정책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기획재정부장관이 자금 일부를 한국은행 외국환평형기금 혹은 금융회사에 예치하도록 하는 의무를 부과할 수 있음.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음. 

 

 

 

 

외국환평형기금(Exchange equalization foud)

 

외국환평형기금 : 외환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환율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하는 특별한 기금.

 

 

 

외환시장에서 외국환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때, 외환을 사고팔아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다수의 국가에서 유사한 형태로 기금 운영. 

 

 

 

외환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환율이 지나치게 급등하거나 급락할 경우, 외국환평형기금을 통해 정부가 외화를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시장에 개입.

 

 

 

지나치게 환율이 변동하면 수출입 기업과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외국환평형기금이 이러한 변동성을 줄여 안정적인 환율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가 보유한 외환 보유고를 바탕으로 운영되며, 필요시 외국환을 유동적으로 공급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