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경제 용어

[경제 기초] 가동률 제조업 평균 가동률 갭 제조업 생산 능력 및 가동률 지수

by 나무꿈 2024. 10. 5.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경제기초용어 알아보기 4탄입니다.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 지수/ 가동률 / 제조업 평균 가동률 갭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 지수

제조업 생산능력은 한 국가 또는 지역 내 제조업 부문에서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양을 의미. 즉, 각 기업이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종합한 지표.

 

제조업 가동률 지수는 이 생산능력에 대비한 실제 가동률을 보여주는 지표. 이 지수는 특정 산업군의 경기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산능력 대비 실제 가동 수준이 어떻게 변동하고 있는지를 추적할 수 있음.

 

가동률(Capacity Utilization)

 

가동률 : 한 경제 또는 산업에서 주어진 생산 능력 대비 실제 생산 활동의 비율

즉,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생산 설비가 가동되고 있는가?

 

(생산실적/생산능력) X 100

 

예를 들어, 가동률이 80%라면 생산 가능 능력의 80%만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나머지 20%는 설비가 놀고 있거나 비축되어 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 갭(Capacity Utilization Gap)

제조업 평균가동률 갭 : 특정 시점에서 제조업의 실제 가동률이 장기 평균 가동률(예: 10년 평균 가동률)과 얼마나 차이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이 갭이 플러스다? 현재 제조업 가동률이 평균을 상회하고 있어 설비가 매우 가동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 경제 활성으로 볼 수 있다. 혹은 과도한 가동률은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커질 수 있음. 

 

이 갭이 마이너스다? 설비 가동률이 낮아졌다. 투자 위축, 실업 등 견제가 둔화될 것을 예상할 수 있음. 

 

가동률 및 평균가동률 갭을 통해 알 수 있는 경제 흐름

  1. 경기 확장: 가동률이 높아지면 공장이 최대로 돌아가고 있다는 뜻이며, 수요가 강하다.
  2. 경기 과열: 가동률이 100% 가까이 도달하면 공급이 제한되고 인플레이션 우려.
  3. 경기 침체: 가동률이 낮아지면 기업 생산량 감소, 수요가 감소하거나 경기 둔화가 예상됨.

 

데이터 확인 방법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경제통계시스템(ECOS)을 통해 제조업 평균가동률 및 제조업 가동률 지표 확인 가능. 

통계청을 통해 지표 확인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