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오늘은 바로 오늘 발표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정책에 대해 소개드리려합니다.
이재명정부가 주택담보대출 규제 대책을 새롭게 시행한다고 합니다.
가계부채의 증가와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합니다.
이 규제는 수도권과 규제지역에만 적용되며
이 지역에서의 부동산 투자 갭투자가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시행 내용
1. 수도권 및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6억원을 상한으로
고가 아파트 매매시 대출 어려움
2. 6개월 이내 전입 의무화
갭투자 사실상 어려움
3. 생에 최초 주택 구입자금대출 LTV 기존 80%에서 70%로 축소
대출 가능 금액 줄어듬
4. 디딤돌, 버팀목 대출 한도 축소
청년, 신혼부부, 생애최도 모두 대출 한도 줄어듬 ㅜㅜ
5. 다주택자 대출 금지
기존 주택 6개월 안에 처분해야함
대출 유형 및 한도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출 유형 | 기존 한도 | 변경 한도 |
일반 디딤돌대출 | 2억5천만 | 2억원 |
생애최초 디딤돌대출 | 3억원 | 2억4천만 |
청년 버팀목대출 | 3억원 | 2억4천만 |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 4억원 | 3억2천만 |
신생아 특례 디딤돌 | 5억원 | 4억원 |
전세 대출 보증 비율도 90%에서 80%로 축소됩니다.
지방은 대출 규제 없고 수도권 및 과열지역에서 적용되는 규제입니다.
또한 중도금 대출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즉 분양주택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월세, 전세의 가격이 오르고
지방 아파트 및 분양주택으로 수요가 몰릴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저 같은 무주택자 입장에서는 상황이 더 막막해졌습니다.
대출은 줄어들고, 전입 의무는 생기고, 정책대출 한도도 낮아졌으니
집을 사기도, 전세를 구하기도 점점 더 어려워지는 현실입니다.
결국은 지금의 불확실한 시장 상황 속에서도
자산을 어떻게든 늘리고, 현금흐름을 관리하며 버텨야 하는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투자도 신중하게, 계획도 꼼꼼하게 세워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집사기 더 어려워졌고, 전세 월세도 더 오를 걸 생각하니 ㅜㅜ 아찔해집니다.
그래도 굴하지 않고 안정적인 삶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지식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자 보호한도 1억 원으로 상향! 2025년 바뀌는 금융제도 핵심 정리 (7) | 2025.07.01 |
---|---|
[2025 민생지원금 25만원 지급] 신청 방법, 대상자 조회, 사용처 (0) | 2025.06.24 |
2025년 국민연금 수령 나이 & 수령액 계산 방법 총정리! (0) | 2025.05.18 |
2024 청년도약계좌 10월 신청기간 정보 한눈에 확인하기 (7) | 2024.10.05 |
주택청약 25만원, 9월 아닌 11월부터 (0)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