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

예금자 보호한도 1억 원으로 상향! 2025년 바뀌는 금융제도 핵심 정리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2025년 하반기부 바뀌는 금융제도 개편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내용은 바로 예금자 보호한도 상향입니다.그동안 20년 넘게 유지되던 보호한도 ‘5,000만 원’이 1억 원으로 두 배 상향된다는 소식,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이 제도의 변화가 어떻게 시행되는지, 예금자 입장에서 어떤 점을 준비해야 하는지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예금자 보호 제도예금자 보호 제도는 은행이 파산하거나 금융사고가 발생했을 때, 예금자의 돈을 일정 한도까지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대신 보장해주는 장치입니다.우리나라는 **예금보험공사(KDIC)**가 이를 관리하며,지금까지는 금융기관 1곳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보호됐습니다. (원금 + 이자 포함)2025년부터 바뀌는 예금자 보호한도, 얼마나 오르나?(20.. 2025. 7. 1.
2025 대출 규제 시작, 빚투 영끌 금지 주택담보대출 변화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오늘은 바로 오늘 발표된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정책에 대해 소개드리려합니다. 이재명정부가 주택담보대출 규제 대책을 새롭게 시행한다고 합니다. 가계부채의 증가와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합니다.이 규제는 수도권과 규제지역에만 적용되며이 지역에서의 부동산 투자 갭투자가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시행 내용 1. 수도권 및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6억원을 상한으로고가 아파트 매매시 대출 어려움 2. 6개월 이내 전입 의무화갭투자 사실상 어려움 3. 생에 최초 주택 구입자금대출 LTV 기존 80%에서 70%로 축소대출 가능 금액 줄어듬 4. 디딤돌, 버팀목 대출 한도 축소청년, 신혼부부, 생애최도 모두 대출 한도 줄어듬 ㅜㅜ 5. 다주택자 대출 금지기존 주택 6.. 2025. 6. 27.
PER, PBR, ROE란? 주식 초보가 꼭 알아야할 필수 용어 3가지 PER Price to Earnings Ratio주가 수익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 회사의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주가를 주당 순이익(EPS)로 나눈 값입니다. 혹은 시가총액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회사의 주가가 5만원이고 EPS가 5천원이면? PER= 50,000/5,000 = 10PER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싸다는 뜻이고, = 저평가PER이 높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비싸다는 것입니다. = 고평가같은 업종의 회사별로 PER을 분석해보면 이 회사가 고평가된 회사인지, 또는 저평가된 회사인지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유의미합니다.) PER이 낮은 회사는 진짜 저평가 된 걸 수도 있지만.. 성장 가능성이 없는 회사인 경우도 있습니다.. 2025. 6. 26.
[2025 민생지원금 25만원 지급] 신청 방법, 대상자 조회, 사용처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최근 정부에서 민생지원급 지급을 발표했습니다.기존 공약에서는 25만원을 지급하겠다고 했었는데 실제 지급은 소득별로 차등을 두어 지급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내가 얼마를 받게 될지, 언제 어디서 신청하는지,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등을 체크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원금 형태1. 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지역사랑 상품권,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의 포인트 형태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지원 금액2. 소득에 따라 지급금액이 달라집니다. 또한 1,2차로 나누어 지급됩니다 지급 금액은 위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여기에 더해서 정부가 지정한 농어촌지역에서는 추가로 2만원을 더 지급한다고 합니다. 사용처 및 기간전통시장, 동네 마트, 음식점, 병원·약국, 편의점, 학원 등.. 2025. 6. 24.
2025년 국민연금 수령 나이 & 수령액 계산 방법 총정리! “국민연금, 나는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20대 30대 분들에게는 국민연금이 너무 먼 미래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자산 설계할 때 연금 수령 시점과 금액은 미리 알아두는게 좋습니다.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수령액 계산 방법,그리고 예상 수령액 모의 계산기 활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국민연금 수령 나이: 몇 살부터 받을 수 있을까?2025년 현재 국민연금 수령 연령은 출생연도에 따라 다릅니다. 1953년 이전만 60세1953~1956년만 61세1957~1960년만 62세1961~1964년만 63세1965~1968년만 64세1969년 이후만 65세 ← 현재 50대 이하 대부분 해당! 국민연금법에 따라 점점 수령 나이가 늦춰지고 있습니다. 향후에 또 늦춰지거나 .. 2025. 5. 18.
[2025년 1월] 가계부 안녕하세요. 경제세포입니다.  2025년 1월 가계부입니다. 새해를 맞이해서 절약을 다짐했지만 쉽지 않네요 그래도 12월보다는 돈을 덜 쓰긴 했습니다.    총 1월 지출 금액 1,598,201 원  월세 500,000원통신비 24,750원식비 662,580원교통비 69,000원쇼핑 171,656원생필품 75,900원병원 17,000원기타 77,315원 기타 항목- 서비스구독료, 보험 등.  지난 달 보다는 돈을 절약하긴 했지만 식비와 쇼핑등 더 줄일 수 있는 돈이 눈에 보이네요. 더 정진해야겠습니다. 2025. 2. 25.
반응형